-
돈은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용해 벌어야 한다재테크 콘텐츠 2020. 1. 20. 17:22
돈을 버는 방법은 간단하게 근로소득을 통해 버는 방법이 있습니다. 내 노동력과 시간을 투자해서 버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돈은 이걸로 벌면 안됩니다. 돈은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용해서 벌어야 합니다. 이런 자본주의 시스템을 이용해 버는 돈을 우리는 금융소득이라고 합니다. 돈이 돈을 벌게 만드는 시스템. 사람들은 이를 불로소득이라고 폄하합니다. 근데 왜 불로소득이 나쁜 건지 설명하지 않습니다. 불로소득을 나쁘다고 생각하는 곳은 사회주의입니다. 자본주의에서는 자본주의처럼 돈을 벌어야 합니다. 자본주의 하에서 사회주의처럼 돈을 벌려고 하면 안됩니다. 벌 수도 없습니다. 일단 돈을 번다는 자체는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나 같은 목표겠지만 자본주의는 신용창조나 경제 시스템들에 의해 내 노동력이나 시간을 투자해서 얻는 가치..
-
다우지수의 정의 및 포함된 종목 리스트경제상식 2020. 1. 14. 21:26
다우지수(Dow 30) 정의 경제관련 뉴스를 접하다보면 자주 듣는 용어 중 하나가 다우지수입니다. 다우지수는 DJIA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또는 Dow 30으로 불리며 다우존스社가 만든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30개 종목을 선정하여 산출한 종합주가지수입니다. S&P 500, 나스닥 지수와 함께 미국증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현재 다우지수는 28,907.05포인트입니다. 몇년째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비록 다우지수가 30개 종목으로밖에 구성이 안되어 있어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나 그 종목들 하나하나의 이름만 들어봐도 다우지수를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아시게 될겁니다. 다우지수 종목 리스트 그럼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주식 종목들은 어떤걸로 구성..
-
2020년 최저임금 결정 금액과 시사점경제상식 2020. 1. 11. 12:33
2020년 최저임금 2020년 최저임금이 얼마나 오르는지 궁금하신분들 많으시죠? 최저임금을 받고 계신 근로자분들이나 월급을 줘야 하는 사업주나 모두에게 중요한 내용입니다. 올해 최저임금은 이미 몇달전에 결정이 되어 있었던 내용입니다. 그 때에도 언론에서 가타부타 논란이 되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최저임금을 더 올리려고 했었죠. 최저임금 1만원대를 만드는게 문재인 정부의 공약이었습니다. 하지만 재계와 야당의 반대로 인해 2020년 최저임금은 당초 계획보다 낮은 수준의 인상이 이루어졌습니다. 2020년 최저임금 인상 결정금액 2019년 최저임금은 8,350원이었습니다. 올해 2020년에는 최저임금이 240원 오른 8,590원입니다. 작년대비 고작 2.87% 오른 것입니다. 논란이 되었던 점은 ..
-
고배당주식 순위 검색 방법재테크 콘텐츠 2020. 1. 5. 08:00
고배당주식 순위 검색 방법 고배당주식 순위란 우리나라에 상장된 회사들 중 주식 배당률이 가장 높은 회사의 순위를 매긴 것을 말합니다. 배당(stock dividend)이란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영업 활동한 결과 발생한 영업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 주는 것을 말합니다. 당연히 배당가능 이익이 있을 때만 주주들에게 배당할 수 있습니다. 배당 여부와 규모는 각 상장회사의 주주총회에서 결정하게 됩니다. 이때 배당이 주식을 나눠주는 방식이면 '주식배당', 현금으로 나누어 주면 '현금배당'이라고 합니다. 만일 어떤 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으시다면 정기적으로 배당 통지문을 받아 보셨을 것입니다. 이 통지문에는 주주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액을 명기하고 있는데요. 가지고 있는 주식에 주당배당금을 곱하여 총 배당금 얼..
-
1평은 몇m2 계산법 및 평수 계산기경제상식 2020. 1. 4. 08:19
1평은 몇m2 지금은 공식적으로 쓰이지 않는 도량법 중 하나인 평(坪)은 토지 및 건물의 면적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 넓이단위 또는 면적단위입니다. 공식적인 단위는 아니지만 아직도 많은 분야에서 평 단위는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로 아파트 면적, 땅의 면적을 얘기할 때 많이 쓰이지요. 1평은 몇m2인가라는 정보는 너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포털에 1평이라는 단어만 검색해도 1평은 몇m2인지 바로 알려줍니다. 위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1평은 3.305785 제곱미터(m²) 입니다. 보통 1평하면 3.3(m2)라고 간단히 계산합니다. 아파트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에 대해 아파트 분양할 때 면적을 보면 보통은 제곱미터 단위를 써놓고 그 옆에 평수를 표기하는 것이 일반화된 거 같습니다. 근데 그 면적이 어떤 것인지 ..
-
시드머니(Seed Money)가 재테크의 가장 기본인 이유재테크 콘텐츠 2020. 1. 3. 20:32
재테크와 시드머니(Seed Money) 흔히 재테크라고 하면 일확천금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테크의 가장 큰 목적은 자산가치가 떨어지지 않도록 지키는 것을 포함하여 자산가치를 올리는 행위를 말합니다. 하지만 분명 재테크는 가지고 있는 자산을 확대시키는 수단임에는 분명합니다. 일확천금까지는 아니어도 금융수익이라고 할 만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의미있는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투자하는 자산의 기본 볼륨(Volumn)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 기본 볼륨을 시드머니(Seed Money)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종잣돈(시드머니)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몇 년 전 처음 주식을 시작할 때 주식에 대한 두려움으로 아주 작은 금액을 투자했습니다. 10만원을..
-
인덱스 펀드 정의 및 장점경제상식 2019. 12. 31. 15:06
인덱스 펀드(INDEX FUND) 정의주식이나 펀드 같은 재테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한번쯤 기웃거려봤을 인덱스 펀드 정의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생겨난 인덱스 펀드는 주가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포트폴리오 운용기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때 장기적으로 투자하기 좋은 상품입니다. 그래서 현재까지도 펀드 상품 중에 높은 인기를 구사하고 있습니다. 인덱스 펀드는 금융회사의 최소 인원과 비용으로 투자위험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적은 종목으로도 주가지표의 움직임을 근접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운용방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
-
고용률과 생산가능인구경제상식 2019. 12. 28. 15:35
고용률 고용률은 실업률과 반대의 개념으로 쓰입니다. 실업률은 실업자수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백분율로 계산한 것입니다. 고용률은 고용자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입니다.고용률(%) = 취업자 수 / 생산가능인구 x 100 생산가능인구 고용률 계산에 분모가 되는 생산가능인구는 15~64세 인구를 말합니다. 이 나이대에 해당되는 사람은 모두 생산가능인구라고 하는 것이죠. 이 생산가능인구에서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경제활동인구와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뉘어 집니다. 실업률 계산에서는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경제활동인구가 분모가 되고 고용률 계산에서는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경제활동인구와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가 모두 포함된 값이 분모가 되는 점이 다른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